포스텍연구팀, 나노크기 물질서 세포막단백질 분리
모든 종류의 암 진단과 치료는 물론 줄기세포 분석까지 간단하게 해결하는 나노(10억분의 1) 크기의 호박모양 물질이 포스텍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. 포스텍은 WCU 첨단재료과학부 김기문 교수와 박사과정 이돈욱씨, 분자생명과학부 류성호 교수 및 포스텍 바이오벤처기업 노바셀 테크놀로지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속이 빈 호박모양인 화합물 '쿠커비투릴'을 이용해 세포에서 세포막 단백질만을 분리해 내는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.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네이처 자매지 '네이처 케미스트리(Nature Chemistry)' 온라인판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다. 이번 연구성과는 지금까지 질병 분석을 위해 세포막 단백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돼 온 아비딘-바이오틴 결합물에 비해 쿠커비투릴이 더 뛰어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. 연구팀에 따르면 세포 표면에 위치해 세포가 주위 환경을 인지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세포막 단백질은 세포마다 구성이 달라 질병의 진단뿐 아니라 부작용이 적은 치료를 가능하게 해 최근 생명공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단백질이다. 이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포막 단백질만을 분리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아비딘-바이오틴 결합물의 경우 단백질과 결합물이 섞이기 쉽고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져 정확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웠다. 연구팀은 이에 따라 쿠커비투릴과 페로센을 결합해 원하는 세포막단백질을 세포로부터 분리해 간단하게 회수하는데 성공한 뒤 기존 방법에 비해 분리의 효율성이 높고 원하지 않는 단백질에 의한 오염 가능성 역시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. |
☀
'시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말의 기후변화..? (0) | 2011.01.06 |
---|---|
동성연애자 편에 서명한 오바마 대통령 (0) | 2011.01.06 |
김정일 장남의 인터뷰/ 김정남 (0) | 2010.10.12 |
[스크랩]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나라 (0) | 2010.09.27 |
울지마 톤즈 ( 영화 ) (0) | 2010.09.10 |